본문


술전검사
먼저, 임플란트 치료를 하기 전에 전신상태, 구강상태, Panorama X-ray, Standard X-ray, Model 인상 등 여러 가지 검사를 합니다. 임플란트를 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지, 임플란트를 하게 될 자리의 뼈 상태가 좋고 충분한지에 대해 자세히 평가하게 됩니다.

1,2차 수술
1차 수술을 하여 잇몸 속 턱뼈에 들어간 임플란트는 뼈 조직이 그 주위에 달라붙어 치유되고 고정되는 기간이 필요합니다. 이 치유기간은 정상적인 경우 하악(아래턱)에서는 3~4개월, 상악(윗턱)에서는 5~6개월 정도입니다. 하지만 이 기간은 환자분의 전신 상태나 뼈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기간이 지나면 잇몸을 열고 보철을 할 수 있도록 잇몸 밖으로 기둥을 연결하는 2차 수술을 합니다. 2차 수술은 때로는 조건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고 임플란트의 조건에 따라서는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임플란트에도 여러 종류가 있으며, 두 번의 수술을 하지 않고 한 번의 수술로 잇몸 위로 기둥을 세우는 종류도 있습니다. 환자의 악골이 불충분한 경우, 즉 이를 뽑은 후 기간이 오래되어서 치조골의 흡수가 심한 경우나 상악의 상악동이 너무 밑으로 내려온 경우에는 임플란트를 심을 수 있을 만큼 뼈의 두께를 적절히 해주기 위한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보철물 제작
기둥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게 되는데, 인상(본)을 뜨고 틀을 맞추는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 보철물을 장착하게 됩니다.
유지관리
정기적인 내원으로 임플란트의 위생상태, 보철물의 저작상태뿐 아니라 다른 구강 내 위험요소들의 예방, 관리해야 합니다.